전체 글 (214)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록]미국 주식 시장, 오미크론 미풍인가, 기술적 반등인가? 지난 11월 26일,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글로벌 주식 시장이 폭락했죠. 미국 주요 지수들은 2%넘게 하락했고, 유럽도 4%나 빠졌습니다. 주말동안의 다양한 뉴스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제가 자주 보는 미주미 카페에서도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왔었죠. 그리고, 11월 29일 월요일 시장이 열렸습니다. 한국 코스피는 2,900 포인트를 깨고 시작했다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승하는 듯 했으나, 오후들에 다시 매물이 쏟아지며 0.92% 하락 마감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시장은 3대 지수 선물이 프리장부터 1% 가까운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본 장이 열리고도 계속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주어 결국 다우 0.68%, S&P500 1.32%, 나스닥 1.88%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전날 54% 넘게 오르며.. [기록]코로나 '오미크론'변이로 '블랙프라이데이'글로벌 증시 폭락 지난 11월 26일은 블랙프라이데이였습니다. 추수감사절 다음날 유통점들이 가장 큰 세일을 하기 때문에 '블랙 프라이데이'라는 명칭이 붙었는데요. 이날 글로벌 증시도 "블랙 프라이데이"를 겪었습니다. 증시에서 "블랙"이라는 단어는 안좋은 단어입니다. 폭락할 때 흔히 붙이는 말입니다. 다우지수가 하루동안 22.6% 급락한 1987년의 "블랙 먼데이"가 대표적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3대지수가 동시에 큰 폭으로 하락한 '블랙 프라이데이'는 1950년만에 처음이라고 합니다. 미국 3대 지수 2%대 폭락 다우지수 -2.53%, S&P500 2.27%, 나스닥 2.23%, 러셀2000 3.67%, 유가 13.06% 폭락했습니다. 이렇게 폭락한 원인인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남아프.. [미국 주식 투자 정보]반도체 ETF, SOXX와 SMH 비교 미국 반도체 관련 주식들이 핫합니다. 특히 엔비디아, AMD 등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올해 100% 이상 상승했습니다. 반면,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은 업황과 맞물리면서 주가가 지지부진합니다. PC와 스마트폰 등 전통적으로 반도체를 많이 사용하는 기기는 물론, 자동차(자율주행), 인공지능, 메타버스, 우주항공 등의 분야에서도 향후 반도체가 더 많이 필요요로 하기 때문에 반도체의 전망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약 5천억달러, 한화로 약 600조원이라고 합니다. 2024년까지 매년 약 5%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개별 종목을 열심히 공부하여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주린이들에게는 이들 기업들을 담고.. [한국부자보고서]2020년말 한국 부자는 39만명 KB금융지주에서 흥미로운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바로 '2021 한국 부자 보고서'입니다. 여러분들은 부자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시나요? KB에서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개인'으로 정의합니다. 이를 기준으로하면, 2020년 말 기준으로 39만 3천명이나 됩니다. 2019년 말에는 35만 4천명이었는데, 1년새 10%가 증가했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7년 14.4%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한국 부자들의 45.5%인 17만 9천 명이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경기도 8만 6천명, 부산 2만 9천명, 대구 1만 8천명, 인천 1만 1천명 순입니다. 한국 부자들의 총 자산은 금융자산보다 부동산자산이 2배 가까이 높습니다. 금융자산은 총 자산의 36.3%를 가지고 있는 반면, 부.. [연금저축펀드]연금저축 계좌 개설하는 방법(feat;미래에셋증권) 2008년,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연금 주식형 펀드 가입했습니다. 꾸준하게 넣었으면 좋으련만,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고, 집을 사다보니 못넣은 기간이 많더라구요. 지난해부터 월 납입금액을 30만원으로 상향해서 넣었는데, 어느덧 올해 12월이면 만기가 됩니다. 수익률은 세전 32%입니다. 연금펀드이기 때문에 바로 찾을 수 없고, 여타 연금처럼 만 55세때 찾을 수 있습니다. 다시 연장할 수 있지만, 펀드 보다는 내가 직접 운용하고 싶어서 연금저축 펀드를 개설했습니다. 다시 연금저축을 하는 이유는 연말정산 때문입니다. 연간 4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월 35만원씩 불입하면 최대 66만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돈을 계좌에 넣어 놓기만 하더라도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