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돈의 흐름 M2 통화량 확인하는 방법(한국은행)

반응형

 

M0, M1, M2 통화량이란?

 

통화량은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의미합니다. 가장 작은 단위로는 한국은행이 돈을 찍어 내는 것인데 M0, 본원통화라고 합니다. 현금통화와 예금통화를 합쳐서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통화량을 M1, 협의통화라고 합니다. M1에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과 금융채, 시장/실적 배당형 상품을 더한 통화량을 M2, 광의통화라고 합니다. M2가 시중에 돈이 얼마나 풀렸는지를 가늠하는 기준입니다. 한국은행도 금융 정책을 결정할 때 M2를 참고합니다. 

 

M2 통화량은 2025년 1월 기준 4204조원

 

현재 M2 통화량 잔고는 얼마일까요? 2025년 1월 기준으로 4204조 2290억원입니다. 2024년 말 기준이 4186조 5588억원이니, 전월 대비 0.4% 증가했습니다. 2024년 1월에는 3909조 8353억원이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7.5%나 늘었습니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고 있네요. 

 

M2 통화량 확인은 한국은행

 

시중에 돈이 많으면, 즉 유동성이 풍부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시장으로 투자를 하게 됩니다.  유동성이 많을 때 자산 가격이 오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중요한 M2 통화량은 한국은행에 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통계검색>1. 통화/금융>1.1 통화/유동성>1.1.3 M2(광의통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2 유동성과 전년대비 상승률(YoY)

 

위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보았습니다. 그래프로 보면 데이터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란색 막대그래프가 M2 잔고량입니다. 2000년 1월부터 작성해 보았는데, 매년 돈이 시중에 많이 풀리는 것이 확연하게 보입니다. 주황색 그래프는 전년 동기대비 상승률입니다. 흔히 Year over Year라고 해서 YoY로 표기합니다. 주황색 그래프는 등락이 있죠. 그래프가 상승한다는 것은 그만큼 돈을 많이 풀어서 유동성이 풍부해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은 어땠을까요?

 

 

주식이나 부동산을 투자하시는 분들은 M2 유동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매월 14일에 발표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