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는 즐거워/주식

(8)
미국 주식 및 파생상품(선물/옵션) 양도세 미국 주식 양도세 22% 미국 주식을 매도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양도세율은 22%입니다. 250만원이 공제됩니다. 예를들어, 2021년 미국 주식 거래 내역을 보니, 총 300만원의 수익이 났습니다. 기본공제가 250만원이 되니, 50만원에 대한 22%, 110,000원이 양도소득세가 됩니다. 양도소득세 예시) 300만원(연간실현수익) - 250만원(기본공제) = 50만원 * 22% = 11만원 양도소득세를 내는 기준일은 결제일 D+3일입니다. 우리가 주식을 팔았을 때, 돈이 바로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금으로 잡히고, 결제는 영업일 기준 D+3일에 됩니다. 올해 미국 주식시장은 12월 31일까지 열리기 때문에, 3일을 빼면 12월 28일까지 매도를 해야 됩니다. 12월 29일에 매도하면 올해 ..
미국 주식 양도세 정리 및 절세 방법 2021년이 저물어 갑니다. 열흘도 안남았네요. 올해 주식 투자에 많은 고난이 있었지만 나름 잘 대응했네요. 특히 미국 주식은 양도세를 어떻게 절감해야 되나 계속 고민하고 있는 중입니다. 뉴스를 검색해 보니, 양도세에 대한 기사들이 많습니다. 공부하는 차원에서 정리해봅니다. 저도 이제 대응해야되거든요. 미국 주식 양도세 22% (250만원 공제) 국내 주식시장과는 달리, 미국 주식은 실현손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실현 손익이라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팔았을 때(매도) 얻은 수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을 100주 가지고 있는데, 계좌를 보니 500만원 플러스 난 상황입니다. 평가 손익이 500만원 되었네요. 돈이 필요해서 애플 주식을 모두 팔았습니다. 그럼 매수금액 + 50..
ETF 투자 잘 하는 방법, ETF Check 활용하기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여러 종목을 한 바구니에 담아서 지수를 산출하고 주식처럼 사고 팔고 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쉽게 과자 종합 선물 세트 같은 것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과자 종합선물 세트에는 새우깡도 있고, 꿀꽈배기도 있고, 빼빼로도 있고 여러 과자들이 있잖아요.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LG생활건강, 셀트리온 등의 기업을 담아 이들 기업의 주가 변동률을 지수화한 것이 ETF입니다. 일반적인 펀드는 펀드를 운용하는 상품에 가입하여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거나(적립식), 한번에 투자(거치식)한다면, ETF는 본인이 직접 사고 팔아야 합니다. 크게는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 지수를 추종하는 ETF부터 2차전지 관련 ..
[기록]오미크론 이슈 3일차... 증시 변동성 확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증시의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이슈가 터진 첫날 금요일에 모든 증시가 2% 이상 폭락했죠. 주말동안 위험성이 없고, 미국 봉쇄 안하고, 백신도 수개월내 만들 수 있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다시 회복했습니다. 그러나, 모더나 CEO의 인터뷰로 급 하락했던 주식은 미국 시장 개장이후 파월 의장의 발언까지 더해지며 또 다시 2%가까운 폭락으로 마감됐습니다. 상승하던 주식에 찬물을 끼얹은 건 모더나 CEO였습니다.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기존 백신이 델타 등 이전의 코로나19 변종보다 오미크론을 예방하는 데 덜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 대응을 위한 새로운 백신의..
[기록]미국 주식 시장, 오미크론 미풍인가, 기술적 반등인가? 지난 11월 26일,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글로벌 주식 시장이 폭락했죠. 미국 주요 지수들은 2%넘게 하락했고, 유럽도 4%나 빠졌습니다. 주말동안의 다양한 뉴스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제가 자주 보는 미주미 카페에서도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왔었죠. 그리고, 11월 29일 월요일 시장이 열렸습니다. 한국 코스피는 2,900 포인트를 깨고 시작했다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승하는 듯 했으나, 오후들에 다시 매물이 쏟아지며 0.92% 하락 마감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시장은 3대 지수 선물이 프리장부터 1% 가까운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본 장이 열리고도 계속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주어 결국 다우 0.68%, S&P500 1.32%, 나스닥 1.88%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전날 54% 넘게 오르며..

반응형